갑상선 수술 후 음성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oice changes after thyroid surgery
Article information
Trans Abstract
Thyroid surgery can lead to significant voice changes, which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This study examines post-thyroidectomy vocal changes using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approach, including perceptual evaluation, subjective voice evaluation (voice handicap index), acoustic analysis, aerodynamic assessments, and vocal fold vibration analysis (stroboscopy, high-speed videoendoscopy, and kymography). The perceptual evaluation showed that patients experienced reduced vocal clarity, stability, and increased vocal fatigue following surgery. Acoustic analysis revealed changes in the fundamental frequency, increased jitter and shimmer values, and a reduced harmonics-to-noise ratio, which indicated a decrease in vocal stability and clarity. Aerodynamic assessments showed a decrease in maximum phonation time and expiratory pressure, suggesting weakened vocal fold closure and insufficient respiratory support. Vocal fold vibration analysis revealed asymmetry and irregular vibration patterns, which further confirmed the observed degradation in vocal qual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mploying a comprehensive, multi-faceted evaluation to accurately assess post-thyroidectomy vocal changes. This approach is essential for guiding targeted rehabilitation efforts aimed at improving vocal recovery and minimizing long-term voice problems following thyroid surgery.
서론
갑상선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이러한 질환의 치료를 위해 갑상선 절제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갑상선 절제술은 갑상선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을 위한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나 해부학적 특성상 인접해 있는 반회후두신경과 상후두신경이 손상될 위험이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으로 인해 수술 후 음성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 특히, 음성을 주로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환자들에게는 수술 후 음성 변화가 직업적인 어려움과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갑상선 절제술 후 발생하는 음성 변화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표적으로 음성의 불안정성, 음역대 감소, 피로감 증가 등이 포함된다[3-6]. 수술 후 음성의 명료도가 떨어지고, 음정의 불안정성과 함께 음성 피로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변화는 환자가 느끼는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수술 후 회복 과정 중 이러한 음성 변화가 일시적인지 장기적인지에 대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3-5]. 또한, 수술 후 음성 변화의 양상과 경과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음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표본 수가 제한적이고, 연구마다 사용된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일관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려웠다. 특히 수술 전 음성 상태가 좋은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 간의 회복 속도나 변화 양상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개별적인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신경의 손상 없이도 수술 후 음성의 장애는 발생하므로 수술 후 음성 변화의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환자별 맞춤형 회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종설은 갑상선 절제술 후 발생하는 음성 변화의 전반적인 양상과 회복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갑상선 절제술 후 음성 변화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청지각적 검사, 주관적 음성평가(Figure 1), 음향 분석, 공기역학적 검사, 성대 진동 검사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청지각적 검사는 수술 전후의 음성 품질을 전문가들이 청각적으로 평가하여 환자들이 경험하는 음성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며 평가 항목으로는 음성의 명료도, 안정성, 음역대의 변화 및 피로도가 포함되고, 이를 통해 수술로 인한 음성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아울러 환자들이 느끼는 불편감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수술 후 심리적, 주관적 영향까지 고려한 통합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음성의 객관적인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음향 분석을 통해 다양한 음향 매개 변수를 평가할 수 있는데 기본 주파수(F0), jitter, shimmer, 신호 대 잡음비(harmonic to noise ratio, HNR)와 같은 주요 음향 변수를 통해 음성의 안정성과 품질을 파악가능하다. 기본 주파수는 음성의 pitch를 나타내고, jitter와 shimmer는 각각 주파수와 진폭 변동을 나타내어 음성의 불안정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HNR는 음성과 잡음 간 비율을 통해 음성 명료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이러한 분석은 수술 전, 그리고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에 걸쳐 반복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면 객관적인 음성변화를 시간에 따라 체계적으로 알 수 있다.
공기역학적 검사를 통해 음성 생성 과정에서의 호흡 기능과 공기 흐름을 측정할 수 있는데 최대 발성 시간(maximal phonation time, MPT), 최대 호기압 등 공기역학적 변수를 통해 성대의 기능과 호흡 지원을 평가 가능하다. MPT은 일정한 음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성대의 적절한 폐쇄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이를 통해 수술로 인해 변화된 호흡과 성대 기능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대 진동 검사에서는 후두미세진동검사(stroboscopy), 고속 비디오 내시경 검사 (high-speed videoendoscopy, HSV), 카이모그래피(kymography)를 사용하여 성대의 미세한 진동 패턴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후두미세진동검사와 HSV는 성대의 비대칭성, 진동 불규칙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카이모그래피는 성대 접촉의 빈도와 패턴을 자세히 보여준다. 이러한 영상 분석을 통해 수술 후 성대 진동의 비대칭성, 불규칙한 움직임 등이 성대의 기능적 변화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성대 진동 검사는 공기역학적 검사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어 환자의 발성 능력과 성대 상태를 다각도로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고찰
갑상선 절제술 후 음성 변화는 수술 과정에서 반회 후두신경이나 상후두신경이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치명적인 합병증 중 하나이다[1-6]. 수술 전후 음성 변화를 다각도로 평가하기 위해 청지각적 검사, 주관적 음성 평가, 음향 분석, 공기역학적 검사, 후두미세 진동검사, HSV와 카이모그래피 검사를 활용하였다[3-6]. 각각의 검사는 서로 다른 음성 기능을 평가할 수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음성 변화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환자의 수술 후 회복 상태를 이해하고, 필요한 치료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먼저, 청지각적 검사는 훈련된 전문가가 수술 전후 음성의 질을 평가하여, 환자가 경험하는 음성 변화를 청각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청지각적 평가는 음성의 안정성, 명료도, 피로감 등 주관적인 음성 특성을 반영하며, 특히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구체적으로 측정하는 데 유리하다. 이 검사에서 수술 후 환자들의 음성 질이 저하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특히 음성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더 두드러졌다. 따라서 청지각적 평가는 수술 후 환자들의 주관적인 음성 변화를 객관화하여 수술의 효과를 평가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갑상선 수술 후 음성 변화의 평가에서 주관적 음성 평가는 환자가 직접 경험하는 음성의 변화와 불편감을 중요하게 반영하는 방법으로 환자들이 음성 피로, 불안정성, 명료도 저하 등을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4]. 이러한 평가는 수술 후 음성 변화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음향 분석과 같은 객관적 검사 결과와 비교할 때 중요한 보완적 역할을 한다. 또한, 주관적 음성 평가는 음성 회복에 있어 환자의 삶의 질 변화와 직결되기 때문에, 환자의 음성 불편감을 이해하고 치료에 반영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Figure 1). 따라서 수술 후 음성 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접근에서 주관적 평가를 포함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음향 분석은 음성의 특정 물리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수술 전후 음성 변화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으로 기본 주파수(F0), jitter, shimmer, HNR 등의 매개 변수를 통해 음성 품질을 평가하며 수술 후 일부 환자에서 jitter와shimmer값이 증가하고 HNR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음성의 불안정성과 명료도 저하를 의미한다. 특히, 기본 주파수의 변동은 음정의 불안정성을 나타내어 환자의 발성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이러한 음향 분석 결과는 수술 후 음성 변화를 수치화하여 환자의 음성 상태를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5,6].
공기역학적 검사는 음성 생성 과정에서 성대와 호흡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공기역학적 지표로는 MPT과 최대 호기압이 포함되며, 이는 성대 기능과 호흡 지원의 상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수술 후 일부 환자에서 MPT이 줄어들고 호기압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이는 성대의 적절한 폐쇄 기능이 약화되었거나, 호흡 지원이 감소했음을 의미하며, 음성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공기역학적 검사는 특히 성대의 폐쇄 능력과 호흡 지원 상태를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어 음성 변화의 원인을 진단하는 데 효과적이다[3,5,6].
성대 진동 검사 중 후두미세진동검사는 성대의 진동 패턴을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성대 기능 변화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성대 진동 검사는 성대가 실제로 어떻게 움직이는지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음성 변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환자의 음성 상태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다. HSV는 수술 후 성대 기능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후두미세진동검사와 달리 초당 수천 프레임을 기록해 성대의 빠른 진동을 매우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수술 후 신경 손상이나 조직 변화로 인한 미세한 성대 진동의 불규칙성을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HSV를 통해 수술 후 성대의 위상 비대칭, 점막 파동의 방해, 그리고 주기성의 변화 등 섬세한 진동 이상을 확인할 수 있어, 이는 수술 후 나타나는 음성의 불안정성과 쉰 목소리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카이모그래피 검사는 성대의 개폐 과정을 기록하여 성대 진동의 미세한 변화를 시각화하는 방법으로 특히 성대 진동의 주기성과 대칭성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 수술 후 성대 기능의 미세한 변화를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 수술 후 일부 환자에서 성대의 진동 주기가 일정하지 않게 변화하는 양상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변화는 음성의 피로감을 증가시키고 음성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성대의 기능적 변화를 세밀하게 추적하여, 수술 후 회복 경과를 모니터링하는데 효과적이다[3,5,6].
청지각적 검사, 주관적 음성평가와 음향 분석 간의 일치도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환자들이 느끼는 불편감과 청지각적 평가 결과가 객관적인 음향 분석 지표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음성 변화가 실제로 청각적 인식과 객관적인 음향 데이터 모두에서 확인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를 통합하여 수술 후 음성 변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공기역학적 검사와 성대 진동 검사는 각각 호흡 및 성대 기능 변화를 정밀하게 평가하는 데 기여하였고 공기역학적 검사를 통해 음성 피로가 호흡의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성대 진동 검사를 통해서는 성대의 물리적 변화가 음성 질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 변화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환자 맞춤형 치료 방안을 설계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여러 검사는 갑상선 수술 후 음성 변화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각각의 검사 방법은 음성 변화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평가하여, 환자의 음성 회복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검사를 통합하여 수술 후 음성 회복을 돕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많은 표본 수와 대조군을 포함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더욱 강화하고 실용성 또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갑상선 절제술 후 음성 변화를 다각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청지각적 검사, 주관적 음성평가, 음향 분석 , 공기역학적 검사, 성대 진동 검사(후무미세진동검사, HSV, 카이모그래피 검사)를 적용하여 음성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 후 환자들의 음성의 질이 다소 저하되었으며, 이는 기본 주파수와 같은 음향적 변화, 성대의 비대칭성 및 진동 패턴의 변동으로 인한 공기역학적 변화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음성 변화는 주관적 청지각적 평가와도 일치하여, 수술 후 환자들이 경험하는 음성 불편감과 주관적인 피로도가 실제 음향 및 성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갑상선 수술 후 음성 변화를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지각적 평가, 주관적 음성평가 및 음향 분석을 통해 주관적 객관적 음성 변화를 파악하고, ⋅ 공기역학적 검사 및 성대 진동 검사를 통해 음성 생성 과정의 기능적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음성 회복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음성 변화와 회복 과정을 추적하여, 더욱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Notes
Funding
None.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Data Availavility
None.